인기검색어
골드매도 유효 매도매도
메뉴
검색
머니앤머니
메인 메뉴
증시일정표
선물투자전략
데일리talktalk
국제
STUDY & TIPS
증시자료실
경제
경제
Select File
Upload File
경제 글답변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홈페이지
제목
필수
내용
필수
웹에디터 시작
> > > [파이낸셜뉴스]한국의 반도체 기술 수준이 2년 만에 중국에 대부분 추월 당했다는 전문가들의 설문 결과가 나왔다. 특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들이 시장 선두를 지키며 전통적으로 강점을 가지고 있는 메모리 분야 기술이나 인공지능(AI) 반도체 영역 등에서 중국이 기초 역량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따른다. > > ■中, 첨단 패키징 제외 모든 기술 분야 기초역량 韓 추월 > > 23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최근 발간한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 보고서에서 국내 전문가 3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지난해 기준 한국의 반도체 5개 기술 분야 기초 역량 대다수가 중국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는 한국·중국·일본·유럽연합(EU)·미국·대만을 비교해 순위도 매겼다. > > 조사 결과,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봤을 때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 분야에서 한국은 90.9%로 중국(94.1%)보다 낮은 3위를 기록했다. 고성능·저전력 AI 반도체 기술도 한국이 84.1%로 중국의 88.3%보다 낮았다. > > 전력반도체 기술 기초 역량은 한국이 67.5%로 6위였고, 중국은 4위(79.8%)로 한국보다 두 단계 높았다. 차세대 고성능 센싱 기술 기초 역량도 한국이 5위(81.3%), 중국이 4위(83.9)%였다.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 기초 역량 한국과 중국이 74.2%로 공동 4위였다. 기술 수준을 사업화 관점에서 평가했을 때는 5개 분야 중 전력반도체와 차세대 고성능 센싱에서 중국에 뒤처졌다. > > 설문 참여 전문가들은 앞서 2022년 진행된 기술수준평가에도 참여했다. 당시에는 5개 기술 모두 우리나라가 중국에 앞서 있었지만 2년 만에 평가가 뒤집힌 셈이다. 보고서는 "중국이 반도체에 대한 높은 대외 의존도에 경각심을 가지고 지난 2014년부터 반도체를 국가 전략 산업으로 지정하고, 반도체 국산화를 위한 정책 추진과 대규모 투자를 한 결과"고 분석했다. > > > 반도체 분야 전체를 대상으로 기술 생애주기를 평가한 설문조사에서도 한국은 공정과 양산에서는 중국을 앞섰지만, 기초·원천 및 설계 분야에서는 중국에 밀린 것으로 나타났다. > > ■해외로 나가는 韓인재, 美中갈등도 악재 > 전문가들은 한국의 반도체 기술 수준에 영향을 미칠 미래 이슈로 국내 반도체 핵심 인력의 유출, AI 반도체 기술, 미중 견제, 자국 중심 정책, 공급망 현지화 등을 꼽았다. > > 이중 대다수가 국내 반도체 기술 수준을 하강시킬 우려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대표적으로 저출산으로 국내 학생 수가 줄어들고 석·박사 과정으로의 진학 비율은 더욱 줄어드는 한편, 핵심 인력마저 더 나은 환경과 보상을 찾아 해외로 유출되고 있다. 인력 유출과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실제 미국 마이크론이나 중국 창신메모리(CXMT) 등 해외 기업들이 국내 주요 메모리사 인력을 적극 리크루팅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 > 미중 경쟁이 심화되는 점도 악재다. 미국이 엄격하게 수출 통제를 하면 한국의 중국 수출이 감소하거나 극단적으로 중국 시장에서 퇴출될 위험 등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는 것도 우려를 키우고 있다. > > 이에 보고서는 향후 국내 반도체 시장 전망이 밝지 않다고 판단했다. 일본과 중국의 부상, 미국의 제재, 동남아시아의 급성장 등으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라 미국 수출 통제 조치가 강화되면 반대급부로 중국 기업의 경쟁력이 되레 향상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현 상황에서 정부의 R&D 투자 절대 규모도 작지만 민간 기업의 매출 대비 R&D 투자 비용도 적으며, 시스템 반도체 분야로의 전환 역시 다소 더딘 상황은 우려를 키우고 있다. > > 보고서는 "국내 반도체 산업은 메모리 반도체 중심, 대기업 중심으로 중·소 협력업체가 공존하고 있지만 다품종·고집적 소자 생산이 필요한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여러 형태의 기업이 공존하는 산업 생태계 육성이 중요하다"며 "국내 반도체 관련 기술수준 향상을 위한 미래이슈 1위는 핵심 인재이며 인재 확보를 위한 양성과 기존 핵심 인재의 유출 방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반도체 #KISTEP > >
웹 에디터 끝
이모티콘
폰트어썸
동영상
관련 링크
첨부 파일
파일 추가
파일 삭제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TradingView 제공
KOSPI 쿼트
트레이딩뷰 제공
EURUSD환율
최근글
등록일
02.23
1
"한국 잃어버린 30년 이미 시작 공급과잉 산업 과감한 빅딜을"
등록일
02.23
2
트럼프발 위기...
등록일
02.23
3
"中, 韓 반도체 기술 대부분 추월" 평가 2년 만에 뒤집혔는데…인력유출, 美中갈등 첩첩산중
등록일
02.21
4
앗 아킬레스건이 여기네…이재명 20대 지지율 18%, 김문수는 40대 7%
등록일
02.21
5
채권 전문가 55% "2월 금통위서 기준금리 인하 전망"
등록일
02.21
6
현재 코로나19 상황과 비슷
등록일
02.21
7
“사업하기 너무 힘들다” 재난 수준의 기업심리
새댓글
등록자
머니앤머니
등록일
02.12
한국과 일본 두 수출국가가 지수를 지켜주고 있어... 관세는 이미 환율로 상쇄되고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