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하기 너무 힘들다” 재난 수준의 기업심리
작성자 정보
- 머니앤머니 작성
- 작성일
본문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기업들이 체감하는 경기가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시기와 비슷한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미국 관세 정책 우려와 지난달 비상계엄 여파 등으로 기업심리지수가 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면서다.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사진=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월 기업경기조사 결과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번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85.3으로 전월보다 0.6포인트 떨어졌다. 1월에 이어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9월(83.4) 이후 최저치다.
전반적인 흐름도 지난달과 비슷했다. 제조업은 일부 업종의 수출 상황이 나아지면서 업황이 개선됐으나, 비제조업에서 건설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으로 사정이 더 나빠졌다.
이혜영 한국은행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제조업의 경우 영업일 수가 늘었고 자동차는 트럼프 관세 정책 시행 전 선발주 증가로, 전자영상은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로 각각 업황이 개선됐다”면서 “비제조업에서는 민간 소비와 관련해 도소매업 업황이 안 좋게 나왔고 건설업은 부동산 경기 악화로 매출, 채산성이 모두 안 좋았다”고 설명했다.
CBSI는 업황, 자금 사정 등 제조업 5개, 비제조업 4개의 주요 지표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장기평균치(2003~2024년)를 기준값(100)으로 해 이보다 지수가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임을, 낮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전산업 CBSI가 전월대비 하락한 것은 지난해 11월부터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기업 환경 악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하락 전환한 후 12월 비상 계엄 이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달 제조업 CBSI는 전월에 비해 1.1포인트 상승한 90.1을 기록했다. 제조업은 생산과 업황 등이 주요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1차 금속, 전자·영상·통신장비를 중심으로 개선됐다.
비제조업 CBSI는 81.7로 전월 대비 1,9포인트 하락했다. 비제조업은 채산성, 매출 등이 주된 하락 요인이었으며, 건설업과 도소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악화됐다.
기업 경영상 힘든 점으로는 내수부진을 꼽은 응답의 비중이 23.1%로 가장 컸다. 이어 불확실한 경제상황이 20.3%, 인력난과 인건비 상승이 13.3%를 각각 차지했다.
기업들은 다음달 체감경기는 제조업·비제조업 모두 상승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심리지수 전망은 전월대비 2.6포인트 상승한 88로 조사됐다. 제조업은 전월보다 2.0포인트, 비제조업은 3.2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과 비교해 3.5포인트 상승한 90.2를 기록했다. 계절적 요인 등을 제거한 순환변동치는 88.4로 전월 대비 0.9포인트 하락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6일부터 13일까지 전국 3524개 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3312개 업체가 응답했으며 제조업이 1867개, 비제조업이 1445개다.
장영은 (bluerain@edaily.co.kr)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사진=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월 기업경기조사 결과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번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85.3으로 전월보다 0.6포인트 떨어졌다. 1월에 이어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9월(83.4) 이후 최저치다.
전반적인 흐름도 지난달과 비슷했다. 제조업은 일부 업종의 수출 상황이 나아지면서 업황이 개선됐으나, 비제조업에서 건설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으로 사정이 더 나빠졌다.
이혜영 한국은행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제조업의 경우 영업일 수가 늘었고 자동차는 트럼프 관세 정책 시행 전 선발주 증가로, 전자영상은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로 각각 업황이 개선됐다”면서 “비제조업에서는 민간 소비와 관련해 도소매업 업황이 안 좋게 나왔고 건설업은 부동산 경기 악화로 매출, 채산성이 모두 안 좋았다”고 설명했다.
CBSI는 업황, 자금 사정 등 제조업 5개, 비제조업 4개의 주요 지표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장기평균치(2003~2024년)를 기준값(100)으로 해 이보다 지수가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임을, 낮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전산업 CBSI가 전월대비 하락한 것은 지난해 11월부터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기업 환경 악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하락 전환한 후 12월 비상 계엄 이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달 제조업 CBSI는 전월에 비해 1.1포인트 상승한 90.1을 기록했다. 제조업은 생산과 업황 등이 주요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1차 금속, 전자·영상·통신장비를 중심으로 개선됐다.
비제조업 CBSI는 81.7로 전월 대비 1,9포인트 하락했다. 비제조업은 채산성, 매출 등이 주된 하락 요인이었으며, 건설업과 도소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악화됐다.
기업 경영상 힘든 점으로는 내수부진을 꼽은 응답의 비중이 23.1%로 가장 컸다. 이어 불확실한 경제상황이 20.3%, 인력난과 인건비 상승이 13.3%를 각각 차지했다.
기업들은 다음달 체감경기는 제조업·비제조업 모두 상승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심리지수 전망은 전월대비 2.6포인트 상승한 88로 조사됐다. 제조업은 전월보다 2.0포인트, 비제조업은 3.2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과 비교해 3.5포인트 상승한 90.2를 기록했다. 계절적 요인 등을 제거한 순환변동치는 88.4로 전월 대비 0.9포인트 하락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6일부터 13일까지 전국 3524개 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3312개 업체가 응답했으며 제조업이 1867개, 비제조업이 1445개다.
장영은 (bluerain@edaily.co.kr)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